아이팜 유아변기
18개월을 앞두고 주변에서 배변훈련 슬슬 시작해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듣고 있는 고다씨입니다.
유아 배변훈련이라고 하면, 어느 정도 의사표현을 할 줄 알고 소통이 가능한 두 돌이 지나고부터 진행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미리 유아용 변기를 구입해서 아이와 변기가 익숙해지고 친해지는 시간을 가지면 좋을 것 같아 구입을 해봤습니다. 제가 구입한 유아 변기 특징과 초기 유아 훈련방법은 어떻게 진행하면 좋은 지 가볍게 다뤄보겠습니다.
유아변기 고르기
아이 변기를 고를 때는 여러 선택사항이 있습니다.
여기에 남자아이는 여자아이와 다르게 소변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고민도 상당합니다.
저는 본격적인 소변 가리기가 우선이 아닌 단순히 변기와 친해지는 과정이기 때문에 소변기는 추후 구입할 예정이고, 우선은 유아용 변기만 구입했습니다. 아이에게 맞는 변기를 고르기 위해 각종 변기의 특징과 장점 및 단점을 살펴봅시다.
휴대용 접이식
여행용, 캠핑용, 외출용으로 용이한 접이식 유아변기입니다.
위 사진은 다리는 접을 수 있고 변기 커버만 있는 제품인데요. 이 아래에는 비닐봉지만 있다면 씌워서 어디서든 간편하게 아이가 대소변을 참지 않고 볼일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외출용만으로 가능한 게 아니라 접이식 다리를 옆으로 펼쳐서 어른 변기 커버 위에 올려 유아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라 굉장히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저는 아직 용변을 가리지 못하는 어린 아이라 아직은 이 제품이 이르다고 생각이 들어 구입하지 않았습니다.
배변훈련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면 외출용으로 하나 구비해두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커버 올인원
변기 커버로 유명한 두리 제품입니다.
이게 아주 신박한데, 어른 커버에 아이 커버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깔끔한 제품입니다. 아이디어가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최근 전주 한옥마을 게스트하우스에서 숙박을 했는데 이 변기커버가 있더라고요. 앉는 부분에 별다른 설치가 필요 없이 간편하고 깔끔합니다. 거기에 한 번에 청소가 가능한 점에서 정말 괜찮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배변만 잘 가린다면 변기 커버를 이 제품으로 교환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이용이 가능한 점이 주는 편리한 부분들이 압도적입니다.
17개월 아이 엄마가 고른
초기 배변훈련 변기는?
유아변기 후기
유아변기
마지막으로 제가 구입한 유아변기입니다.
생긴 건 평소에 쓰는 화장실 변기랑 똑같이 생겼습니다. 한 번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구성
박스는 크지만 그렇게 무겁지 않습니다.
구성은 변기 사용설명서와 함께 변기 본체, 분리가 가능한 소변통, 사운드 물 내림 통이 있습니다.
제가 구입한 유아변기는 12개월 ~ 48개월이 적당하다고 쓰여있는데 앉혀본 결과 30개월 아이가 쓰기엔 작은 감이 보이고, 초기 훈련용으로 적당한 것 같습니다. 모양을 성인 변기와 똑같이 디자인하다 보니 휴대성이 떨어지고 분리되는 소변통 또한 단독 사용을 할 수 없어서 추후 배변훈련이 가능해지면 타제품으로 갈아타야 할 것 같네요. 자세한 장단점은 아래 간단히 적어놓겠습니다.
사운드 효과
이 사운드 등받이는 위에 물 내림 버튼이 있는데 당연히 실제로 물이 내려가진 않고 버튼을 누르면 시원하게 물이 내려가는 소리만 난다. 아이들이 좀 더 사실적이게 대소변을 가릴 수 있고, 소리에 흥미를 느껴 배변훈련을 진행하는 동안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넣은 추가 기능 같다. 버튼을 사용하기 위해 AAA 건전지가 들어가고 별도로 구성품에 포함되어있는 부분이 아니다 보니 꼭 구비해두기 바란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기능이다. 아이가 소리에 반응이 좋아서 지루함 없이 변기에 앉히기 용이한 부분이다.
디자인
변기 커버가 올라가는 것부터 변기 하부까지 정말 디테일하게 만들어놨다.
앙증맞은 귀여움이 있다. 두 번째 사진처럼 소변통은 분리가 되어 아이가 대소변을 하면 바로 소변통만 분리해 세척이 가능한 점이 좋다. 맨바닥에는 쉽게 밀리지 않도록 고무패킹 처리가 되어있다. 아이가 때로는 앉다가 움직이는 경우가 있는데 변기 자체의 몸체는 무척 가볍지만 밀림 방지 덕분에 아무리 움직여도 바닥에 잘 고정되어있을 수 있다.
장점과 단점
- 디자인이 귀엽다.
- 가볍지만 튼튼하다.
- 아이에게 안성맞춤 사이즈다.
- 사운드에 관심과 집중도가 높다.
- 부모 모방 심리를 이용할 수 있다.
- 부피의 휴대성이 떨어진다.
- 배변훈련이 끝나면 타제품을 또 사야 한다.
- 변기 커버가 고정되지 않는다. (자꾸 닫힌다.)
- 대소변을 할 때마다 청소가 필요하다. 손이 많이 간다.
- 변기인 줄 모르고 의자 용도로 쓰려한다.
유아 배변훈련
배변훈련 시기
일반적으로 빠르면 18개월부터, 평균적으로 24~36개월 사이에 진행을 합니다.
사실 더 이르거나 빨리 기저귀를 떼는 건 아이와의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배변훈련을 하고 있음에도 마음처럼 잘 따라주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아이가 대소변을 눌 때의 사인을 캐치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겁니다.
대소변을 하기 전 나오는 대표적인 행동으로는 "기저귀 앞 섭을 잡는다, 다리를 꼰다, 놀다가 갑자기 멈춘다." 이런 특징들을 보이곤 합니다. 이 행동을 보임으로서 아이 스스로도 소변이 나온다는 걸 알고 있어야 하고, 이때 부모가 놓치지 않고 바로 변기에 앉힐 수 있어야 원활한 배변훈련이 가능해집니다. 이러한 신호도 없고 부모께서 눈치챌 수 없다면 아직 이르니 조금은 천천히 진행하는 걸 추천합니다.
훈련 방법
주변에서 하나 둘 벌써 기저귀를 떼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괜스레 마음이 조급 해지는 게 당연합니다. 하지만 조급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주변에서 3돌 넘어 기저귀를 늦게 뗀 친구가 있는데, 확실히 어느 정도 언어적 소통이 가능하면 바로 간단하게 떼기도 합니다. 그리고 학습 능력이 생각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3일~5일 정도 훈련을 진행하다 보면 바로 끊게 되는 아이들이 많이 보이더라고요.
변기와 친해지기
우선 아이와 변기가 친해지는 과정을 첫 번째로 제일 먼저 진행해주어야 합니다.
"이제부터 여기서 쉬야를 하는 거야, 여기에 앉아볼까?, 변기에서 응가랑 쉬를 해야 하는 거야." 부담 없는 말들로 아이의 관심을 끌어줍니다. 너무 앉아있게 할 필요도 없고 가볍게 말만 해주었어요. 그다음 변기와 관련된 책을 읽어주고 사운드 북을 활용하며 간접적으로 변기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었고, 아이가 직접 어른 변기와 비교해보고 만져보며 함께 앉아도 보고 익숙해지게 해 주었습니다. 지금은 이 단계만 진행하고 있고 아이의 소변 신호를 알 수 있다면 다음 두 번째 단계로 훈련을 진행합니다.
화장실 안에 변기를 두자
본격적인 배변훈련 시작
두 번째로는 이제 화장실 안에 유아 변기를 옮겨 진행합니다.
여기가 화장실이고 화장실에서 대소변을 누어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줍니다. 직접 물도 내려보고 이제 변기와는 익숙한 상태이니 본격적으로 배변훈련을 진행하는 과정을 하게 됩니다. 아이가 물을 마시고 언제쯤 소변을 보는지, 평균적인 대변 시간대와 대소변 전 신호를 알고 그 신호가 보인다면 바로 변기에 앉도록 유도합니다. 이렇게 3일 정도 시간을 두고 신호가 보일 때 바로 기저귀를 벗겨 변기에 누면 엄청난 칭찬을 해줍니다. 소변 텀이 길어질 때 훈련을 하는 게 당연히 유리하고요. 신호가 확실하면 그만큼 기저귀에 실수할 확률이 줄어들기 때문에 빠르게 기저귀를 뗼 수 있습니다. 확실히 위로 형, 누나가 있거나 어린이집을 다니면 보고 배우는 게 빠르더라고요.
이후로는 대소변은 변기에 해야 한다는 사실을 충분히 이해하는 시기가 옵니다.
이제부터는 혼자서 스스로 쉬가 마려우면 화장실에 가기도 하지요. 부모가 조급하고 자꾸 아이를 다그치면 곤란합니다. 훈련 기간은 길어봤자 2주 안쪽이라고 하니 부담 없이 소변부터 진행하여 자연스럽게 기저귀를 떼고 팬티로 바꾸며 배변훈련을 진행해주는 게 좋습니다.
'후기볼래 > 정보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 한옥마을 :: 17개월 아이와 함께하는 한옥 스테이 '경기전별당채' 게스트하우스 후기 (46) | 2022.10.24 |
---|---|
2022 개정 도로교통법 :: 헷갈리는 우회전 법, 우회전 단속 및 범칙금 총정리 (49) | 2022.10.14 |
삠뽀요 쁘띠뮤 :: 유아동복 17개월 남아 스펙 사이즈 비교 (45) | 2022.10.11 |
마켓컬리×삠뽀요 :: 유아동복 최대 84% 할인/ 사이즈 추천 (54) | 2022.10.06 |
16개월~24개월 :: 아기 재접근기 시기, 대처법/ 엄마 껌딱지, 안아병 (54) | 2022.10.03 |